김세윤 박사의 ‘종말론적으로 유보된 칭의’에 대해 한국교계 그중에서 특히 개혁주의적인 신학 입장을 천명하는 노선에 서 있는 신학자들과 목회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반향과 반발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이 책을 김 박사의 유보된 칭의론의 단초를 엿볼 수 있다. “칭의론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우리의 믿음으로 얻은 칭의가 심판 때까지 유보되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즉 칭의론도 ‘이미’와 ‘아직’이라는 말로 표현되는 신약 종말론의 보편적인 구도 속에서 고찰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로 이뤄진 구원을 지금 우리가 받음은 그 구원의 첫 열매에 해당하고, 그리스도의 재림 때 있을 하나님의 최후의 심판에서 우리의 행위대로의 심판을 거쳐 구원의 온전한 수확을 거두게 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전한다.“그런데 전통적인 칭의론 이해가 칭의의 관계론적 의미와 종말론적인 유보를 간과함으로써, 칭의(구원)와 의인으로 살기(윤리)가 구분되는 문제를 낳게 된 것이다. ‘나는 믿음으로만 이미 의인이라 칭함을 받았다, 그러므로 아무렇게 살아도 구원을 받아 영생을 누리게 된다’는 소위 ‘구원파’적 칭의론을, 어떤 이들은 ‘예정론, 성도의 견인론’으로 뒷받침하기까지 하여, 오늘 윤리와 분리된 신앙(구원의 확신)을 가르치고 믿는 한국교회의 비극을 낳게 된 것이다”고 주장하고 있다. “칭의를 근본적으로 하나님의 아들의 나라로의 이전됨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하고, 하나님 나라로 들어감, 하나님 나라 안에 서있음, 하나님 나라의 완성에 참여하기의 구도로 이해해야 한다”며 “전통신학에서 말하는 성화는 의롭다 함을 받은 이들이 하나님의 아들 주 예수 그리스도의 주권에 순종해서 사는 것, 즉 제자도의 삶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성화를 칭의와 분리할 수 없다. 성화 없는 칭의는 없다.”
김세윤 교수의 명쾌한 신학 강의 칭의와 성화 . 예수의 하나님 나라 복음을 구원론적으로 표현한 바울의 칭의론를 다룬 책이다. 저자는 바울의 칭의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칭의를 ‘무죄 선언’ 또는 ‘의인이라 칭함’의 법정적 의미와 함께, ‘주권의 전이’, 즉 사탄의 나라에서 하나님 나라로 이전됨이라는 관계적 의미도 가진 것으로 이해하며, 믿음의 시작점에 선취하고 하나님의 통치를 받는 현재적 삶을 거쳐 최후의 심판에서 완성을 얻는 구원의 전 과정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서문
CHAPTER 01 칭의론에 대한 신학적 논쟁
1. 전통적인 종교개혁적 관점
2. 전통적 견해에 대한 도전
1) 기독교 내에서의 도전
2) 유대교의 도전
3. 새 관점 학파의 도전
1) 샌더스Sanders, 바울과 팔레스타인 유대교
2) 바울의 유대교 비판에 대한 네 가지 해석
(1) 샌더스Sanders
(2) 레이제넨 Raisanen
(3) 던Dunn과 라이트 Wright
(4) 두 언약 이론: 개스튼Gaston 등
3) 새 관점의 시대정신
4) 새 관점 학파의 공통점들
(1) 기본 전제로서 ‘언약적 율법주의’
(2) 사회학적 접근 방법
(3) 바울의 칭의 교리의 의미 축소
(4) 바울의 율법/유대교 비판
(5) 칭의 교리의 후기 개발론
5) 새 관점에 대한 비판
(1) 바울 해석에 대한 비판
(2) 유대교에 대한 전제 비판
6) 제2성전 시대의 유대교에 대한 바울의 증언
7) 새 관점에 대한 평가: 문제점들과 공헌
(1) 문제점들
(2) 공헌
8) 새로운 해결책의 모색
9) 결론
CHAPTER 02 칭의론의 법정적 의미와 관계적 의미
1. 예수의 죽음에 대한 바울의 해석
2. 그리스도의 대속의 제사
3. 하나님의 의
1) 법정적 의미
2) 관계적 의미
4. 칭의론에 대한 두 가지 해석들
1) 칭의의 법정적 해석
2) 칭의에 대한 관계적 해석
3) 두 해석들의 통합이 중요
4) 종말론적으로 유보된 칭의
5) 회복된 올바른 관계 속에 ‘서 있음’의 중요성
6) 칭의는 ‘주권의 전이’다
CHAPTER 03 예수의 하나님 나라 복음의 구원론적 표현으로서의 칭의론
1. 예수의 하나님 나라의 복음과 바울의 칭의의 복음
2. 하나님의 아들의 나라의 복음
1) 바울이 인용하는 예루살렘 교회의 복음 (롬1:3~4)
2) 예루살렘 교회의 신앙고백/복음의 풀이 (고전 15:23~28)
3) 하나님 나라 복음의 구원론적 표현으로서의 칭의론 (롬 1:3~4/15:12; 8:31~39; 16:20)
4) 사탄의 나라에서 하나님의 아들의 나라로의 전이 : 구속, 죄 사함/칭의 (골 1:13~14)
5) 바울이 반영하는 예수의 하나님 나라의 복음
6) 예루살렘 교회의 복음에 대한 바울의 이해
3. 기독론적 복음 (롬1:3~4)과 구원론적 복음 (롬1:16~17)의 일치
4. 데살로니가전서와 고린도전서에 담겨 있는 하나님의 아들/칭의의 복음
1) 데살로니가전서
(1) 하나님 아들의 대속의 제사로서의 죽음에 근거하여
(2) 하나님의 아들의 중보로
2) 고린도전·후서
3) 바울 복음의 한 중심 범주로서의 칭의론, 그리고 기독론적 틀 안에서 이해해야 하는 칭의론
5. 복음을 믿음으로 의인으로 칭함 받기, 곧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 되기
6. 하나님의 아들, 주 예수 그리스도의 현재적 통치
7. 하나님의 아들, 주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로 완성되는 칭의/성화
8. 칭의와 성화
1) ‘성화’ 언어의 사용법들
(1) 믿음/세례로 하나님께 바쳐진, 하나님의 소유된 백성으로 만들어진 사건, 곧 ‘성도들’(‘거룩한 이들’)이 된 사건
(2)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으로 살기
(3) 최후의 심판에서 완성되는 성화
2) 칭의와의 관계
3) 칭의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것의 장점들
9. 삼위일체적 하나님의 은혜에 의한 칭의/구원의 복음의 사회적, 선교적, 문화적 의미
CHAPTER 04 은혜/믿음으로 받는 칭의와 행위대로의 심판
1. 삼위일체적 하나님의 은혜에 의한 칭의/성화
2. 하나님/하나님의 아들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라로 회복된 ‘의인’들에게 요구되는 하나님/하나님의 아들 주 예수 그리스도의 주권에 대한 의지와 순종
1) 믿음으로 얻는 칭의의 복음에 구조적으로 내포된 의로운 삶에 대한 요구
2) 개별화된 임무 수행의 요구- 바울의 소명 사상
(1) 은혜
(2) 소명
3. 행위대로의 심판
1) 행위대로의 심판
2) 행위대로의 심판과 상
3) 성령의 도움에 의한 순종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
4. 예정과 성도의 견인, 그리고 탈락의 가능성
1) 탈락의 가능성
2) 예정과 성도의 견인, 그리고 탈락의 가능성
CHAPTER 05 요약과 결론
1) 칭의론에 대한 학계의 토론
2) 예수의 하나님 나라 복음과 바울의 칭의의 복음
3) 삼위일체적 하나님의 은혜에 의한 칭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4) 최후의 심판과 칭의의 완성, 예정과 성도의 견인, 그리고 탈락의 가능성
5) 맺는말: 칭의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
카테고리 없음